기억 장치 관리의 개요

기억 장치 계층 구조의 특징

  • 상위 계층 : 레지스터 > 캐시 > 주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
  • 상위 계층 일수록 접근속도 증가, 접그시간 빠름, 기억 용량 적고 고가
  • 주 기억 장치는 워드와 바이트로 구성되어 주소로 접근 가능
  • 레지스터 캐시 기억장치 주기억장치는 cpu가 직접 액세스 할 수 있음
  • 보조기억장치는 cpu가 직접 액세스 불가능, 주기억장치에 적재된 후 cpu에 액세스 가능

기억 장치 관리의 전략

반입(fetch)전략

  • 보조기억장치에 보관중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언제 주기억장치로 적재할 것인가 결정하는 전략
    • 요구 반입 : 참조 요구할 때 적재한다
    • 예상 반입 : 참조 될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미리 예상하여 적재

배치(placement) 전략

  • 새로 반입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의 어디에 위치시킬 것인지를 결정하는 전략

    • 최초 적합 : 빈 영역 중 첫 번째 분할 영역에 배치
    • 최적 적합 : 단편화를 가장 작게 남기는 분할 영역에 배치
    • 최악 적합 : 단편화를 가장 많이 남기는 분할 영역

교체(replacement) 전략

  • 주기억장치의 모든 영역이 이미 사용중인 상태에서 이미 사용중인 영역 중에서 어느 영역을 교체하여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