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베이스란?

특정 조직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의 모임

  • 통합된 데이터
    • 중복 배제
  • 저장된 데이터
    •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 운영 데이터
    • 존재 가치가 확실하고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자료
  • 공용 데이터
    • 여러 응용 시스템이 공동 소유 및 유지하는 자료

데이터 베이스의 특징

  • 실시간 접근성
    • 수시적, 비정형적 질의에 대하여 실시간 처리에 의한 응답이 가능해야한다
  • 계속적인 변화
    • 데이터 베이스의 상태는 동적이다, 즉 새로운 데이터의 삽입 삭제 갱신으로 항상 최신 데이터를 유지해야한다.
  • 동시 공용
    •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같은 내용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어야한다
  • 내용에 의한 참조
    • 데이터 레코드의 주소나 위치가 아닌 사용자가 요구하는 데이터의 내용으로 데이터를 찾음
    • 사용자 친화적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 데이터베이스를 이용 및 관리하는데 필요한 컴퓨터 중심의 시스템
  • 구성 요소
    • 데이터베이스
    • 스키마
    • DBMS
    • 데이터베이스 언어
    • 데이터베이스 컴퓨터
    • 데이터 베이스 사용자

DBMS

DBMS는 기존 파일 시스템의 종속성과 중복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추고 사용자와 데이터 베이스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해준다

종속성과 중복성의 문제점

종속성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 파일이 상호 의존적 관계일 때는 데이터 파일의 접근 방법이나 저장되는 방법이 바뀔 경우 응용 프로그램도 변경해야한다

중복성

  • 일관성
    • 중복 데이터의 증가로 데이터의 일관성이 사라짐
  • 보안성
    • 중복된 모든 데이터들에게 일관된 보안수준을 유지하기 어렵다
  • 경제성
    • 저장 공간 낭비와 동일한 데이터의 반복작업으로 비용이 증가한다
  • 무결성
    • 제어의 분산으로 데이터의 정확성을 유지할 수 없다

DBMS의 필수 기능

  • 정의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데이터의 형과 구조에 대한 정보를 명시 할 수 있어야한다
  • 조작
    •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는 기능
  • 제어
    •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삽입,삭제 작업이 정확하게 수행되어 데이터의 무결성이 유지되도록 제어해야한다
    • 허가된 사용자만 데이터 접근 할 수 있도록 보안 유지 및 권한을 검사할 수 있어야한다.
    • 여러 사용자의 동시 접근 상황에서 처리 결과의 정확성을 유지하도록 병행 제어를 할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