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windows 개념 및 사용법

X-window의 특징과 구성 요소

개념과 특징

  • 리눅스 환경의 각종 애플리케이션과 유틸리티에 대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플랫폼과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그래픽 시스템
  • x-윈도우sms x11,X, X Windows System이라 한다
  • 네트워크 기반의 그래픽 환경을 지원한다
  • 이기종 시스템 사이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 스크롤바, 아이콘, 색상 등 그래픽 환경 자원들이 특정 형태로 정의되어 있지 않다
  •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존적이지 않으며 원하는 인터페이스를 만들 수 윘다.
  • x-윈도우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의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이다
  • 서버 프로그램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작동한다
  • 서버는 클라이언트들의 디스플레이에 관한 저근 허용, 클라이언트 간의 자원 공유, 네트워크 메시지 전달, 클라이언트와 입출력 기기와의 중계를 담당
  • 클라이언트는 애플리케이션으로 X 서버가 제공하는 기능들을 이용한다
  • 오픈 데스크톱 환경으로 KDE, GNMOE, XFCE 등이 있다

구성 요소의 종류

  • Xprotocol
  • Xlib
  • XCB
  • Xtoolkit
  • XFree86
  • XF86Config

x-윈도우 설정과 실행

  • 파일 /etc/inittab
    • init 프로세스가 읽는 파일로, init 프로세스가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 리눅스 사용 환경을 초기화한다
  • x-window 실행
    • 그래픽 환경이 아닌 터미널 윈도우로 로그인한 경우에는 몇 개의 프로그램을 실행해야한다
    • 터미널 윈도우의 명령어 프롬프트 상에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시켜야한다
    • startx는 X-윈도우를 실행하는 스크립트로 시스템 환경을 초기화하고 xinit을 호출한다
    • startx 실행 시 인자값을 xinit에 전달하는 옵션은 ‘–’ 이다.
  • 환경 변수 DISPLAY
    • 환경 변수는 프로세스가 컴퓨터에 동작하는 방식에 영향을 주는 동적인 값이다
    • 쉘에서 정의 되고 실행하는 동안 프로그램에 필요한 변수이다
    • 환경 변수 DISAPLY는 현재 X-윈도우 Display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 형식 : export DISPLAY=IP 주소: 디스플레이 번호. 스크린 번호

윈도우 매니저와 데스크톱 환경

윈도우 매니저

  • 윈도우 매니저는 X-windows 상에서 창의 배치와 표현을 담당하는 시스템 프로그램이다
  • 창 열기와 닫기, 창의 생성 위치, 창 크기 조정, 창의 외양과 테두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
  • 라이브러리는 Xlib와 XCB를 사용한다
  • 윈도우 매니저의 대표적인 종류로는 fvwm, twm, mw, windowsMaker, AfterStep 등이 있다.

데스크톱 환경

  • gui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스타일로 데스크톱 관리자라고도 한다
  • 윈도우 매니저, 파일 관리자, 도움말 제어판 등 다양한 도구를 제고앟는 패키지 형태의 프로그램이다
  • 아이콘, 창, 도구모음, 폴더, 배경화면, 데스크톱 위젯도 제공한다
  • 드로그 앤 드롭과 프로세스 간의 통보 기능을 지원한다
  • 대표적인 데스크톱 환경에는 KDE, GNOME, LXDE, Xfce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매니저

  • X window system 상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이다
  • 디스플레이 매니저 종류들로는 XDM, GDM, KDM 등이 있다.
  • 로컬 또는 리모트 컴퓨터의 X server의 접속과 세션 시작을 담당한다
  • 사용자에게 그래픽 로그인 화면을 띄워주고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인증을 진행하고 인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세션을 시작한다

X-윈도우 활용

원격지에서 X 클라이언트 이용

  • xhost
    • 명령어 xhost는 X 서버에 접속 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를 지정하거나 해제
    • X 서버에게 디스플레이를 요청 시 해당 요청에 대해 허용 여부를 호스트 단위로 제어한다
    • xhost [+ - ][ip | 도메인 명]
    • 환경 변수 DISPLAY로 X 서버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표시되는 클라이언트 주소를 지정한다
  • xauth
    • .Xauthority 파일의 쿠키 내용을 추가, 삭제, 리스트를 출력하는 유틸리티
    • xhost가 호스트 기반 인증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유틸리티라면 xauth는 MMC 방식의 인증 방식을 사용하기 위한 필수 유틸리티이다
    • 원격지에서 저속하는 X클라이언트를 허가할 때 IP 주소나 호스트명이 아닌 X-윈도우 실행 시에 생성되는 키 값으로 인증할 때 사용한다
    • 사용자 인증 기반을 지원하기 위해 각 사용자에게 네트워크화 된 홈 디렉터리에 파일 $HOME/.Xauthority에 대해 읽기 및 쓰기 권한이 있어야한다.

X-윈도우 응용 프로그램

오피스

  • libreoffice
    • 오피스 프로그램 패키지
  • gedit
    • 텍스트 편집 프로그램
  • kwrite
    • KDE 기반의 텍스트 편집기

그래픽

  • GIMP
    •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 ImageMagick
    • 이미지 생성 및 편집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 eog
    • GNOM의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
  • kolourpaint
    • ubuntu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 gThumb
    • GNOME 데스크톱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
  • gwenview
    • KDE의 기본 이미지 뷰어

멀티미디어

  • Totem
    • GNOM 기반의 사운드 및 비디오 재생 프로그램
  • RYTHMBOX
    • 통합형 음악 관리 프로그램
  • CHEESE
    • GNOME 기반의 카메라 동영상 프로그램

개발

  • Eclipse
    • 통합 개발환경으로 자바를 비롯한 다양한 언어를 지원

기타

  • Dolphine
    • KDE용 파일 관리자
  • KSnapshot
    • 스크린샷 프로그램

인터넷 활용

네트워크 분류

  • lan(local area network)
    • 근거리 통신망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 학교나 회사 등 가까운 지역을 묶는 소규모 네트워크
  • man(metropolice area network)
    • 도시권 통신망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 LAN과 WAN의 중간크기이다
  • wan(wide area network)
    • 국가, 대륙 등과 같이 넓은 지역을 연결하는 프로그램
    • 거리의 제한은 없으나 다양한 경로를 경유해 도달하므로 속도가 느리고 전송 에러율도 높다
  • san(storage area network)
    • 스토리지를 위해 고안된 스토리지 전용 고속 네트워크
    • 파이버 채널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저장장치 네트워크
    • 호스트 컴퓨터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별도의 연결된 저장장치 사이에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시킬 수 있는 고속 네트워크
    • 서버가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파일 I/O 요청을 직접 블록 I/O로 전환하여 SAN에 연결된 스토리지로 저장한다

네트워크의 개요

  • LAN 토폴로지

    • 토폴로지는 호스트 및 장비들의 물리적인 배치 형태이다
    • 토폴로지는 성형 망형 버스형 링형 트리형 등이 있다
  • 성형

    • 중앙 컴퓨터에 여러 대의 컴퓨터가 허브 또는 스위치와 같은 장비로 연결
    • 중앙 집중식 형태로 네트워크 확장에 용이
    • 고속의 대규모 네트워크에 적합
    • 관리하는 중앙 컴퓨터 고장시 전체 네트워크 사용 불가능
  • 망형

    • 모든 노드가 서로 일대일로 연결된 형태
    • 대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 적합
    • 장애 발생 시 다른 시스템에 영향이 적고 우회할 수 있는 경로가 존재하여 가장 신뢰성이 높은 방식
    • 회선 구축 비용이 많이 듬
  • 버스형

    • 하나의 통신회선에 여러 컴퓨터를 연결해서 전송
    • 연결된 컴퓨터 수에 따라 네트워크 성능이 변동
    • 단말기 추가 및 제거가 용이하며 설치 비용이 저렴
    • 노드 수 증가시 트래픽 증가로 병목현상 발생, 네트워크 성능 저하 초래
    • 문제가 발생한 노드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움
  • 링형

    • 각 노드가 좌우의 인접한 노드와 연결되어 원형을 이룬 형태
    • 앞의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내용을 다음 컴퓨터로 재전송하는 방법
    • 토큰 패싱이라는 방법을 통해 데이터 전송
    • 고속 네트워크로 자주 네트워크 환경이 바뀌지 안하느 ㄴ경우 구성
    • 분산제어와 검사 및 회복이 가능
    • 네트워크 전송상의 충돌이 없고 노드 숫자가 증가하더라도 망 성능의 저하가 저음
    • 논리적인 순환형 토폴로지로 하나의 노드 장애가 전체 토폴로지에 여향
    • 노드의 추가 및 삭제가 용이하지 않음
  • 트리형

    • 버스형과 성형 토폴로지의 확장 형태
    • 백본과 같은 공통 배선에 적절한 분기장치를 사용하여 링크를 덧붙여 나갈 수 있는 구조
    • 트래픽 양 증가 시 병목 현상의 가능성 증대
  • 매체 접근 제어 방식

    • CSMA/CD
      • 단말기가 전송로의 신호 유무를 조사하고 다른 단말기가 신호를 송출하는지 확인
    • 토큰 패싱
      • 토큰의 흐름에 의해 전송 순서가 결정된다
      • 토큰 패싱은 free token과 busy token을 이용하여 매체 접근을 제어한다

네트워크 장비

  • 케이블
    • 보호 외피나 외장 안에 두 개 이상의 전선이나 광섬유로 묶여 있는 것
    • TP 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 리피터
    • 신호의 재생 및 증폭기능을 수행하여 물리적인 거리를 확장 시킴
  • 허브
    • 신호를 노드에 전달해주는 장비이다
    • 네트워크 확장, 다른 허브와의 상호 연결, 신호의 증폭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 LAN 카드
    •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컴퓨터 내에 설치되는 확장 카드이다
    • 전기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하고 변환하며,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 MAC 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판별한다
  • 브릿지
    • 모든 수신 프레임을 일단 버퍼에 저장하고, 주소에 따라 목적지 포트로 프레임을 전달하는 장비이다
    • 큰 네트워크를 단일 네트워크 상의 트래픽 감소 등과 같은 작고 관리하기 쉬운 Segment로 나눌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한다
    • 전기적으로 신호의 재생 및 패킷의 송수신 어드레스를 분석하여 패킷의 통과 여부를 판정하는 필터링을 작용한다
  • 스위치
    • 브릿지와 비슷한 기능을 갖는 장비이다
    • 소프트웨엉 기반인 처리 방식으로 브릿지보다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한다
    • 맥 주소 테이블을 기반으로 프레임 전송
  • 라우터
    • OSI 모델의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이다
    • 서로 다른 통신망과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 LAN을 연결시켜주는 망 연동 장치로서 통신망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경로를 설정하는 역할을 제공하는 핵심적인 통신장비이다
    • 목적지로 향하는 최적의 경로 설정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 게이트 웨이
    • 서로 다른 형태의 네트워크를 상호 접속하는 장치이다
    • 서로 다른 통신망이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비를 통칭한다
    • 데이터 포맷 등 두 개의 시스템 사이에서 중계자 역할을 수행한다
  • UTP 케이블링
    • 다이렉트 케이블
    • 크로스오버 케이블

프로토콜 개요와 기능

OSI7 모델과 TCP/IP 모델

OSI7 모델 기능 TCP/IP 모델
7. 응용 계층 사용자에게 다양한ㅇ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User Interface를 제공, UI로 데이터를 생성 응용계층
6. 표현 계층 부호화, 압축, 암호화 기능 응용계층
5. 세션 계층 종단 간 애플리케이션들의 연결 설정, 유지, 해제 응용계층
4. 전송 계층 종단 간 연결, 응용 계층 사이에 논리적인 통로 제공 전송 계층
3. 네트워크 계층 논리적인 주소를 사용, 경로 관리, 최적 경로 설정 인터넷층
2. 데이터 링크 계층 데이터 전송을 위한 형식 결정,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Media에 접근하는 방법 제공, 오류 검출 기능 제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층
1. 물리 계층 물리적인 연결,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 절차적인 수단제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층

계층 별 프로토콜

  • 프로토콜은 특정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규약이다
    • 이것은 두 노드 사이의 정보 교환시 발생하는 통신상의 에러를 피하기 위하여 합리적인 통제를 한다
  • 프로토콜 구성요소는 형식, 의미, 순서이다
    • 형식 : 데이터 포맷, 부호화 및 신호 레벨 등
    • 의미 : 특정 패턴을 어떻게 해석하고, 어떤 동작을 할 것인가 결정
    • 순서 : 속도 일치 및 순서 제어등
  • 인터넷/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 IP,ICMP,IGMP,ARPRARP
  • 전송 계층 프로토콜
    • TCP,UDP
  • 응용 계층 프로토콜
    • SMTP, POP , Telnet, SSH, FTP,HTTP, SNMP, TFTP, DHCP

IP 주소와 도메인

  • IPv4 주소 체계
    • 4 개의 옥텟으로 구성된다
    • 각 옥탯은 8비트이므로 IPv4는 총 32비트이다
    • 클래스 E는 240~255 사이의 대역에 있으며 IP 주소 부족을 위해 예약해 놓은 것이다
    • IP 주소는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 구성되어 있다.
    • 서브넷 마스크는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구분해주는 값이다
      • 이것은 효율적인 네트워크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 서브넷팅
    • 서브넷은 특정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누는 것이다
    • IP주소의 부족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다
    • 서브넷팅은 디폴트 서브넷 마스크를 기준으로 해서 네트워크 ID 비트 수를 늘리고 호스트 ID 비트 수를 줄이는 것이다. 이 때 기준에서 늘어난 네트워크 ID 비트는 서브넷 ID라 부른다
  • IPv6
    IPv6

인터넷 서비스의 종류

WWW 서비스

  • 프로토콜 HTTP를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와 하이퍼텍스트를 통한한 정보 검색 시스템이다
  • 다양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 WWW 서비스는 분산 클라이언트 - 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 표준 웹 프로토콜(HTTP,XML,SOAP,WSDL,UDDI)를 기본으로 하여 서로 다른 개발 환경과 운영 체제에서도 상호 통신이 가능하다

메일 서비스

  • 전자 메일 시스템은 컴퓨터 사용자끼리 편지를 주고받는 서비스이며 MTA,MUA,MDA로 구성된다
  • 메일 클라이언트에 송신은 SMTP, 수신은 POP3 또는 IMAP4를 이용한다
  • 메일을 보내거나 메일 서버 간의 메시지 교환은 SMTP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메일 서버에 도착한 메일을 컴퓨터에서 확인할 때에는 POP3와 IMAP을 사용한다
  • MIME은 멀티미디어 전자우편을 위한 표준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ASCII 형식으로 변환할 필요 없이 인터넷 전자 우편으로 송신하기 위한 SMTP의 확장 규격이다

FTP 서비스

  • FTP(File Transafer Protocal)은 TCP/IP에 의해 제공되는 호스트 간의 파일 복사를 위한 프로토콜이다
  • FTP의 통신 모드는 패시브 모드와 액티브 모드로 구분한다
  • FTP는 20번(일반 데이터 전송용)과 21번(제어 데이터 전송용) 포트 번호를 사용한다

DNS(Domain Name System) tjqltm

  • 호스트 이름을 기반으로 IP 주소를 변환하거나 IP주소를 기반으로 호스트 이름을 변환시켜 주는 프로토콜이다
  • DNS에서는 도메인 명을 분산된 트리 형태의 계층적 구조로 관리한다

Telnet과 SSH 서비스

  • 네트워크 상에 있는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 실행 파일 복사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 Telnet과 ssh는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하여 서버 관리, 파일 편집 등을 text 모드 환경에서 시스템 명령을 실행하고 결과를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다.
  • Telnet은 서버와 주고받는 정보를 byte 스트림 형식으로 전송하고 , ssh는 DES, RSA 등의 암호화 기법을 사용해서 전송한다 따라서 Telnet 보다 ssh가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보장한다
  • ssh는 암호화 뿐만 아니라 압축 기술도 제공한다. 암호화를 통해서 늘어난 데이터의 크기를 압축하여 사용자와 서버가송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NFS(Network File System)

  • 네트워크 기반에 다른 시스템과 파일 시스템을 공유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서버 프로그램이다
  • 1984년 썬 마이크로 시스템즈 사에서 개발하였다.
  • 원격지에 있는 리눅스 서버의 특정 디렉터리를 로컬 시스템의 하위 디렉터리처럼 사용할 수 있다.
  • NFS는 portmap이 먼저 수행되어 있어야만 NFS 서비스가 실행된다.
    • portmap은 NIS,NFS 등 RPC(remote procedure call) 연결에 관여하는 데몬이다
  • NFS서비스는 nfsd,rpc.mounted.rpc,statd,rpc.rockd,rpc.rquotad 데몬들이 구동된다

RPC(Remote Procedure Call)

  • 동적으로 서비스와 포트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 기본적으로 포트와 서비스가 정적으로 구성 될 때는 /etc/services 파일을 참조하지만 동적으로 할당받아 사용할 때는 RPC인 rpcbind를 이용한다

인터넷 서비스 설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 리눅스는 다양한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자동으로 인식되지만 자동으로 인식되지 않을 경우 수동으로 설정해야 한다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수동 설정 방법은 컴파일된 인터페이스 모듈을 커널에 적재하는 것이다

네트워크 설정 파일들

  • /etc/sysconfig/network : 네트워크의 기본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파일
  •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X : 지정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네트워크 환경 설정 정보가 저장된다
  • /etc/resolv.conf : 기본적으로 사용할 도메인 명과 네임 서버를 설정한다
  • /etc/hosts : IP 주소와 도메인 주소를 1:1로 등록하여 도메인에 대한 IP 주소를 조회하도록 한다
  • /etc/host.conf : DNS 서비스를 제공할 때 먼저 이 파일을 검사하여 파일의 설정에 따라 서비스 한다

네트워크 설정

  • IP 주소 설정
    • 네트워크 설정 파일로 주소 설정
      • /etc/sysconfig/network 또는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X로 IP 주소를 설정한다
    • 명령어를 이용한 주소 설정
      • ifconfig를 이용하여 IP 주소를 할당한다
    • 유틸리티를 이용한 주소 설정
      • netconfig, system-config-network, redhat-config-network 등의 다양한 유틸리티를 이용하여 주소를 설정
  • 라우팅 테이블 설정 및 관리
    • 라우팅이란 송신 패킷이 목적지까지 전송할 수 있도록 경로를 설정하는 작업이다
    • 송신 패킷은 라우팅 테이블에 목적지 경로 정보가 있다면 해당 경로로 패킷을 전송한다
    • 명령어 route는 라우팅 테이블을 설정하거나 확인한다
    • 목적지 경로가 라우팅 테이블에 없다면 디폴트 게이트웨이로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게 라우팅 테이블을 설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 TCP/IP 주소 설정 정보 확인 : ifconfig, nslookup
  • 네트워크 경로 상태 확인 : ping, traceroute
  • 네트워크 연결 상태 확인 : netstat
  • 라우팅 테이블 확인 : route
  • NIC 상태 확인 : ethtool, mii-tool, arp

기술 동향

리눅스 동향

초기 리눅스는 주로 서버로 이용되었지만 현재는 크게 서버, 데스크톱 및 개발, 임베디드 분야로 나눌 수 있다.

리눅스 관련 기술

  • 클러스터링
    • 여러 개의 시스템이 하나의 거대한 시스템으로 보이게 만드는 기술이다
    • 여러 개의 컴퓨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여 하나의 컴퓨터처럼 동작하도록 제작한 시스템
    • 클러스터 노드와 클러스터 관리자로 구성된다
    • 고계산용 클러스터, 부하분산 클러스터, 고가용성 클러스터 등이 있다.
  • 임베디드 시스템
    • 컴퓨터의 하드웨어 제어인 프로세스, 메모리 입출력장치와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가 조합되어 특정한 목적을 수행하는 시스템
    • 미리 정해진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시스템이다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특정한 응용시스템이다
    • 개인 휴대 정보 단말, 지리 정보 시스템, 정보 가전, 게임 기기 등의 시스템을 통칭한다
    • 하드웨어로는 프로세서/컨트롤러, 메모리, I/O 장치, 네트워크 장치, 센서 등이다
    • 소프트웨어로는 운영체제, 시스템 S/W, 응용 S/W 이다
    • 실시간 처리를 지원한다
    • 소형 경량 및 저전력을 지원한다

활용 기술

리눅스 서버 분야

  • 서버 가상화

    • 서버를 구성하는 모든 자원의 가상화를 의미
    • 하나의 물리적 서버 호스트에서 여러 개의 서버 운영체제를 게스트로 실행 할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이다
    • 서버들을 하나의 서버로 통합하여 가상환경을 구동시킴으로써 물리서버 및 공간을 절감한다
    • 서버 자원 통합 운영으로 하드웨어 가용성을 증가시킨다
    • 손쉬운 이중화 구성과 유연한 자원 할당으로 시스템 가용성과 안정성을 확보한다
    • 통합 구축, 공동 활용, 유지 관리, 전력 및 관리 비용 등 중복 투자 방비 및 예산을 절감
  • 클라우드 컴퓨팅

    • 공유 구성이 가능한 컴퓨팅 리소스의 통합으로 어디서나 간편하게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 사업자와 직접 상호 작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개별 관리 화면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사업자의 커퓨팅 리소스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는 형태로 이용한다
    • 필요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스케일 업과 스케일 다운이 가능하다
      •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서버나 스토리지 같은 하드웨어 자원 만을 임대해 주는 클라우드 서비스
      • Paas(Platform as a Service) :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 사설 클라우드, 공유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모델이 있다.
    • 빅데이터
      • 기존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의 데이터 수집, 저장, 관리, 분석 역량을 넘어서는 데이터이다
      • 다양한 종류의 대규모 데이터로부터 저렴한 비용으로 가치를 추출하고 데이터의 빠른 수집 발굴 분석을 지원할 수 있도록 고안된 차세대 기술 및 아키텍쳐이다
      • 볼륨 속도 다양성의 3대 요소가 있다

임베디드 시스템

  • 모바일
    • 스마트폰의 os란 스마트폰을 구성하고 있는 하드웨어 부품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구동하게 하며, 사용자와의 편리한 의사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구동 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 대표적으로 ios와 안드로이드가 있다.
    • 리눅스 기반의 공개형 운영체제로 마에모, 모블린, 미고, 리모 , 타이벤, ios가 있다
  • 스마트 tv
    • 텔레비전에 인터넷 접속 기능이 결합되어,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tv방송 시청이외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다기능 tv이다
    • 인터넷 tv 또는 커넥티드 tv라고도 불린다
  • IVI(In Vehicle Infotainment)
    • 인포테인먼트란 정보와 오락의 합성어로 정보전달에 오라성을 가미한 시스템이다
    • 내비게이션이나 계기판, AV 시스템, DMB, MP3, 오디오 및 외부 기기와의 연결까지 가능한 통합적인 차량 내부 시스템을 포함한다
    • GENIVI 표준 플랫폼 기반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다
    • 운전자 편의성 및 안정성을 증대시킨다
    • GENVI(GENEVA In Vehicle Infortainment)는 오픈 소스 기반 플랫폼 얼라이언스로 차량 멀티미디어 플랫폼 표준화 활동이다